프로젝트

01. 서울시 사회취약계층 융합을 위한 아동지원사업 제안(qgis)

기계학습점쟁이 2022. 6. 9. 12:59

사용한 프로그램: qgis(지리정보체계 응용프로그램), power bi, excel...

연구한 사람: 김세연

연구한 날짜: 2021년 12월 6일

 

서울시 사회취약 계층 아동들의 복지개선과 사회 계층 융합을 위하여 (1. 부모들의 경제활동 용이 2. 아동학대 방지 등) 국공립어린이집 야간근무를 위한 지원사업을 계획할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을 선정한 이유는

정확한 소득 자료를 획득하기 어려우므로 사회-경제적 계층 간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는 연구는 본질적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임대 주택은 빈곤의 공간적 집중을 측정하고 현황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이 자료를 활용하였고,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생계가 곤란한 저소득층으로 취약계층을 대표하는 지표이기에 이들을 지원하는 임대주택이 중요한 의미를 띌 것이라 예상함.

공립 어린이집을 늘리지 않아도 된다. 이 지도는 외곽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노란색 점으로 덮혀있음. 노란색 점을 중심으로 500m버퍼를 주었다. 이는 어른의 도보로 5분, 아동과 함께 걷는다면 약 10분이 걸리는 거리를 500m이기 때문이다. 지도에서 볼 수 있듯이 서울시에 위치한 국공립 어린이집의 수는 2020년 기준 1749개로 전국 최다 갯수이고, 또한 이용률 또한 43.8퍼센트로 타 시도 평균 15.1퍼센트보다 3배 정도 높다. 현 상황에서 국공립 어린이집을 늘리는 것은 맞지 않으며, 어린이집 서비스 질을 높이고, 야간 보육시설을 늘리고, 보육교사 1명이 담당하는 아동을 줄이는 것이 현 상황에 알맞는 해답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임대주택만으로는 취약계층의 거주형태를 완벽하게 파악할 수 없기에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이라는, 전통적으로 취약계층의 거주지로 여겨진 곳 또한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음.